"우리는 공중 보건원부터 개인 트레이너까지 모두가 식단에 대한 자유로운 주장을 펼치는 시대 속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가지 사실만은 30년 동안 한 목소리로 외치고 있다. "

"소금을 적게 먹으면 혈압이 떨어지고, 오래 그리고 더 건강한 삶을 살 것이다." Gary Taubes


지난 포스팅에서 소금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신체에서 소금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USDA와 미국 심장 협회 (AHA)는 나트륨 섭취를 2,300mg에서 1,500mg까지 낮추라고 권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많은 펠리오 식단 지지자들도 구석기인들의 적은 소금 섭취량을 이유로 소금에 대한 제한식이 몸에 좋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 구석기 선조들이 소금을 적게 먹었으니, 우리도 적게 먹어야 할까요?


저염식은 위험합니다.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다. 최근 발견된 증거들을 보면 소금 제한식에 대한 허구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더욱 위험하죠. 이제부터 소금을 너무 낮게 섭취해서 생기는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금 과다 섭취로 인한 고혈압이 심장질환의 원인이라고 비난받고 있는 와중에, 소금을 적게 먹었더니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각주:1] 2011년 미국 의학 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은 저염식을 식사한 군이 뇌졸중과 심장마비의 확률이 더 높게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4g-6g 사이가 가장 낮은 위험률을 보임





이 연구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은 나트륨의 섭취범위는 하루 4g 에서 6g 사이 인 것으로 나왔습니다. 다른 2011년 연구 또한 낮은 나트륨 섭취가 심혈관 질병에 의한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그리고 나트륨의 과다 섭취가 고혈압으로 이어진다는 어떠한 증거도 찾지 못합니다. 또 저염식이 조기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률을 증가 시킨다는 어떤 연관 관계도 찾지 못했습니다.


.

 



저염식이 혈액의 호르몬과 지질을 증가시킵니다. 

2012년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에 따르면 저염식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닌 등의 수치가 높았다고 합니다. [각주:2] 저자는 혈압을 조금 내리려고 저염식을 감행하다간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저염식과 당뇨병 

거기다 당뇨병(Type-2) 환자가 소금 섭취를 줄이면 사망률이 증가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각주:3] 2011년의 연구에 따르면 저염식을 한 당뇨병 환자들이 심혈관 질환으로 조기 사망을 할 확률이 높음을 발견했습니다. 게다가 2010년 하버드 연구도 저염식이 인슐린 저항성을 불러온다고 밝혔죠. 인슐린에 저항성이 생기면 당뇨병으로 발전합니다.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저염식이 좋은 지침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소금을 제한하는 것은 운동선수들에게도 좋지 않습니다. 




최근 조사에서 마라톤 선수들의 다수가 혈액 나트륨 농도가 낮은 상태임(hyponatremia)을 발견했습니다. (참고) 2002 보스턴 마라톤 선수 중의 13%가 hyponatremia였고 고도의 지구력을 필요한  다른 운동선수들의 경우에는 29%까지 달했습니다.  hyponatremia 상태인 대부분의 선수들은 자각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무기력증이나 역겨움을 보였다고 하네요.  지구력을 요하는 운동을 하는 선수들에게  비심장성폐부종 뇌부종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수시로 소금을 보충해야 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럼 왜 정부는 소금을 제한하는 것일까?

건강 전문가들은 1970년 대부터 소금 제한을 권장해왔습니다. 바로 Lewis Dahl박사가 소금이 고혈압의 원인이라고 주장했을 때 부터이죠.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소금을 매일 쥐에게 먹였더니, 고혈압이 발생되었다고 하는데, 그 양이 인간으로 치면 매일 500g에 해당하는 양이라 합니다. 즉 보통 우리가 먹는 소금양의 50배에 달합니다. 이 쥐 연구를 통해 박사는 소금을 많이 먹는 사람은 혈압이 높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Intersalt 의 연구를 보면 혈압과 소금 섭취는 전혀 관계가 없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반된 결과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는 소금을 제한해야 한다는 믿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적정 소금 섭취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고, 또 좋은 소금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ttp://jama.ama-assn.org/content/306/20/2229 [본문으로]
  2. http://www.metabolismjournal.com/article/S0026-0495(10)00329-X/abstract [본문으로]
  3. http://care.diabetesjournals.org/content/34/3/703.full [본문으로]

+ Recent posts